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redux
- react
- docker layer
- ASP Core
- 리액트 리덕스
- react typescript
- 도커 레이어
- Asp Net Core
- asp.net core
- javascript
- 도커 컨테이너
- vscode extension
- js
- docker container
- Git
- asp core 권한
- asp core mvc
- 도커
- react ts
- Docker
- c# delegate
- 리액트 타입스크립트 적용하기
- 리액트
- asp.net core mvc
- 리액트 타입스크립트
- React Redux
- 리덕스
- C#
- 도커 이미지
- Docker image
- Today
- Total
목록Languages (39)
기초 메모지

스택(Stack) LIFO(Last-In First-Out) 구조로 마지막에 들어간 데이터가 처음으로 나오는 구조 입니다. 그림을 참고 해서 소스를 살펴보면 // StckCapacity를 지정합니다. const int StckCapacity = 5; // StckCapacity 지정하지 않으면 데이터가 추가될때마다 스택 크기가 증가합니다. static Stack stack = new Stack(StckCapacity); static void StackPush() { for (int i = 0; i

삼항 연산자 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. (조건 식 ? True에 실행할 코드 : False에 실행할 코드) 삼항 연산자와 일반 조건문을 비교했을때 더 간결한 표현이 가능합니다. int x = 1; Console.WriteLine(x == 1 ? "참(True)" : "거짓(False)"); int x = 1; if (x == 1) { Console.WriteLine("참(True)"); } else { Console.WriteLine("거짓(False)"); }

프로그램은 수학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. 수학적 의미 프로그래밍 키워드 상수常數 (Constant) : 변함없는 (=Fixed) 수 const : 상수(Constant)의 축약 변수變數 (Variable) : 변동이 심한, 가변적인 수 var : 변수(Variable)의 축약 상수(Constant) : 한번 정해지면 변하지 않는 수 아래와 같이 코드를 작성하면 컴파일러에서 에러를 표시합니다. "변수, 속성 또는 인덱서여야 합니다." 즉 상수는 변경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. 변수(Variable) : 언제라도 변할 수 있는 수 변수는 사용자가 원할 때 언제든지 값을 변경 할 수 있습니다. 상수(Constant)인것 같지만 변수(Variable)인 readonly 변수이지만 읽기만 가능하게 만드는 키..

partial 클래스가 너무 길어질 경우 분할하여 작성하게 해주는 키워드 입니다. 대표적으로 WindowsForm에서 사용합니다. 폼 코드 : Works.cs 폼 디자이너 코드 : Works.Designer.cs

인터페이스? - 객체지향에서 하위 타입(클래스)은 상위 타입(클래스)으로 형변환이 가능하다는 원리를 이용합니다. - 추상적인 메서드 구현(재정의)을 강제하여 상속받는 클래스에서 구체화를 유도합니다. - 느슨한 결합(특정 타입에 종속되지 않는 코드)을 유도하여 코드의 유연성을 높입니다. 추상적인 것을 구체적으로 인터페이스에서 추상(범주)화한 메서드를 상속한 클래스에 맞게 구체화합니다. interface ITransportation { // 각 클래스의 공통된 행위(메서드), 특성을 정의하고 구현할 것을 강제. // 반환 형식, 메서드명, 시그니처만 선언. // 인터페이스는 내용이 아닌 외형. // 구체적인 기능 구현은 인터페이스를 상속받는 클래스에서 작성. // 이동수단의 특성인 움직인다는 것을 Move ..

async - 메서드 내부에 await 키워드가 있다는 걸 알려주는 역할입니다. - await 키워드가 없어도 되지만 Warning 메시지가 표시됩니다. 비동기 처리 동시에 시작하여 먼저 끝난 순서대로 반환됩니다. await - 작업이 끝날 때까지 대기하고 반환 값을 할당하는 경우 사용합니다. 반환 값 유무 X O 대기 지시문 Task.Wait() await Task namespace Async { class Program {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RunTask(); } static async void RunTask() { Task TasksA = Task.Run(() => TaskA()); Task TasksB = Task.Run(() => TaskB()); Ta..

오버라이드(Overrid) - 상위 클래스의 메서드를 재정의 합니다. - 반환 타입, 메서드명, 시그니처(매계변수) 모두 같아야합니다. - 오버라이드 당하는 상위 메서드에는 `virtual` - 오버라이드 할 메서드는 `override` 오버로딩(Overloading) - 메서드명은 같지만, 시그니처(매계변수) 만 다른 메서드 입니다. - 반환 타입, 메서드만 같고 시그니처(매계변수)는 달라야합니다. 시그니처(Signature)? 매계변수(Parameter) 타입과 갯수를 의미합니다. - Add(int x, int y, int z) namespace OverrideOverloading { class Car { public virtual void Load() { Console.WriteLine("Load"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