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도커 레이어
- vscode extension
- asp core 권한
- C#
- 리덕스
- Docker image
- docker layer
- 도커 이미지
- c# delegate
- react typescript
- 도커 컨테이너
- react ts
- asp.net core mvc
- javascript
- js
- docker container
- redux
- 리액트
- ASP Core
- Asp Net Core
- 도커
- 리액트 리덕스
- 리액트 타입스크립트 적용하기
- Docker
- asp core mvc
- asp.net core
- 리액트 타입스크립트
- react
- React Redux
- Git
- Today
- Total
목록리액트 리덕스 (2)
기초 메모지

리덕스(Redux) 리덕스(Redux)는 상태 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라이브러리입니다. 상태(State)를 컴포넌트 별로 관리하지 않고 전역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상태 관리가 편리합니다. 용어 및 개념 1. 액션(Action) - 액션(Action)은 어떤걸 하는지에 대한 지시가 있는 객체로 `type` 속성을 필수적으로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. 2. 액션 생성 함수(Action Creator) - 컴포넌트에서 더욱 쉽게 액션을 발생시키기 위해 사용합니다. - 액션을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함수 입니다. - 액션을 만드는 함수로 파라미터를 받아와서 액션 객체 타입으로 만듭니다 3. 리듀서(Reducer) - 액션을 발생시켜 스토어의 상태(State)를 변화 시킬 때 액션에 따라 기존 상태..

리액트(React)에서 리덕스(Redux)를 사용하는 이유 State(상태)를 편리하게 관리 이용하기 위해서 입니다. 리액트(React)는 가상 돔(Virtual DOM)을 이용하므로 컴포넌트(Component == Function)들이 계층(Tree)으로 존재합니다. 속성(Props)는 일방적으로 상위 컴포넌트에서 하위 컴포넌트로 값을 전달합니다. 계층(Tree) 구조인 DOM 특성 상 최상위 노드에서 최하위 노드까지 접근하려면 경로상 모든 노드를 방문해야 합니다. index에서 Props로 TodoList 컴포넌트로 데이터를 전달하려면 index > App > Body > TodoList 순으로 접근해야합니다. 앞서 말씀 드렸지만 계층 구조이므로 index에서 TodoList로 바로 전달할 수는 없습..